이응지읒 테이블

‘이응’과 ‘지읒’, 두 자음을 단순한 형태로 분해하고 조합해 만든 테이블이다. 납작한 기호가 공간적 구조로 전환되는 순간을 포착하며, 언어가 형태로, 생각이 물성으로 꺾이는 지점을 탐구한다.

낯선 조형은 문자의 익숙한 리듬을 비틀고, 가구는 기능과 상징의 경계를 넘나드는 오브제로 작동한다.

Role

Object

Category

Inflect

Year

2024

Client

Self-initiated

Design

김형준

낮은 담장 앞에 설치된 흰색 철제 테이블. 두 개의 곡면 지지대가 엇갈려 교차하며, 위쪽 원형 상판을 떠받치고 있다. 기호 형태의 구조가 시각적 긴장감을 형성함
낮은 담장 앞에 설치된 흰색 철제 테이블. 두 개의 곡면 지지대가 엇갈려 교차하며, 위쪽 원형 상판을 떠받치고 있다. 기호 형태의 구조가 시각적 긴장감을 형성함
낮은 담장 앞에 설치된 흰색 철제 테이블. 두 개의 곡면 지지대가 엇갈려 교차하며, 위쪽 원형 상판을 떠받치고 있다. 기호 형태의 구조가 시각적 긴장감을 형성함
시멘트 바닥 위에 놓인 이응지읒 테이블을 상부에서 내려다본 구도. 지지대의 교차점과 그림자 형성이 도드라지며, 곡선과 직선의 대비가 강조됨
시멘트 바닥 위에 놓인 이응지읒 테이블을 상부에서 내려다본 구도. 지지대의 교차점과 그림자 형성이 도드라지며, 곡선과 직선의 대비가 강조됨
시멘트 바닥 위에 놓인 이응지읒 테이블을 상부에서 내려다본 구도. 지지대의 교차점과 그림자 형성이 도드라지며, 곡선과 직선의 대비가 강조됨
이응지읒 테이블의 대각선 뷰 클로즈업. 좌우 연결부를 리벳으로 마감해 미감이 우수하고 조형적으로도 어우러짐
이응지읒 테이블의 대각선 뷰 클로즈업. 좌우 연결부를 리벳으로 마감해 미감이 우수하고 조형적으로도 어우러짐
이응지읒 테이블의 대각선 뷰. 상부 원형 곡선과 하부 지지대의 직선적 조화가 우수함
이응지읒 테이블의 대각선 뷰. 상부 원형 곡선과 하부 지지대의 직선적 조화가 우수함
평지 위에 놓인 이응지읒 테이블의 정면 구도. 테이블 중심의 대칭 지지 구조가 조형적 긴장과 시선을 유도함.
평지 위에 놓인 이응지읒 테이블의 정면 구도. 테이블 중심의 대칭 지지 구조가 조형적 긴장과 시선을 유도함.
카페에 설치된 이응지읒 테이블. 미니멀한 구조로 카페와도 너무 잘 어울리며, 티테이블로 안성맞춤
카페에 설치된 이응지읒 테이블. 미니멀한 구조로 카페와도 너무 잘 어울리며, 티테이블로 안성맞춤
실내 공간에 배치된 여러 대의 이응지읒 테이블. 원형 상판과 직선 지지대가 반복되어 군집 형태의 설치미를 연출함.
실내 공간에 배치된 여러 대의 이응지읒 테이블. 원형 상판과 직선 지지대가 반복되어 군집 형태의 설치미를 연출함.
대나무 배경 정면에서 본 이응지읒 테이블의 중심 축 구도. 직선적 상판과 곡면 지지대가 시각적 리듬을 형성하며, 공간을 분절함
대나무 배경 정면에서 본 이응지읒 테이블의 중심 축 구도. 직선적 상판과 곡면 지지대가 시각적 리듬을 형성하며, 공간을 분절함
이응지읒 테이블 사이로 보이는 대나무 배경. 미니멀하고 기하학적인 테이블 실루엣과 조화를 이룸
이응지읒 테이블 사이로 보이는 대나무 배경. 미니멀하고 기하학적인 테이블 실루엣과 조화를 이룸
대나무 숲을 배경으로 설치된 이응지읒 테이블. 곡선 지지대와 하얀 원형 상판이 주변 자연과 대조되며, 조형적 존재감을 드러냄
대나무 숲을 배경으로 설치된 이응지읒 테이블. 곡선 지지대와 하얀 원형 상판이 주변 자연과 대조되며, 조형적 존재감을 드러냄